공개토론: 구직 전략
제 1 부: 준비서류
일자: 2018.12. 2 (일) 3:30 - 4:30 오후
장소: 몬트리올 한인 장로교회 6225 Godfrey Avenue Montreal, Qc. H48 1K3
514-678-4322; 514-991-4322
토론 내용:
1. 인맥: 중요성-(정희수교수의 경험); 내부인맥, 외부인맥, 개인노력, 단체노력
2 유익한 정보원:IMT (information sur le marché de travail); www tresor.gouv.qc.ca; employ ;www.monemploi.com; emploiquebec.net/francais/imdividual/reserach. web-site of emplyer, nespaper. 특히 주변 친척, 친구,
3 자기 소개 Introduction of oneself
3.1 자기능력 (Own Capacity)
3.1.1 주도성 (Initiatives);
3.1.2 자치성 (Autonomy);
3.1.3 효율성 (Efficiency)
3.1.4 정확성 (Precision)
3.1.5 문제지적 능력 (Problem detecting capacity)
3.1.6 조직적 사고 Methodic mind)
3.1.7 신축성 (Flexibility)
3.1.8 설득 능력 (Persuasion)
3.1.9 예측능력 (Capacity to foresee)
3.1.10 협조정신 (Spirit of cooperation)
3.1.11 자기의견 주장능력 (Capacity to affirm own opinion
3.1.12 인내심 (Patience)
3.1.13 자기감정 통제능력 (Self-control)
3.1.14 신뢰성 (Reliability)
3.2 자기 프로파일 (Own Porfile): 자기 성격 및 직업 (Character and career0
3.2.1 현실주의자 (Realistic mind): 구체적 사고방식, 보이는 도구를 이용하는 직업. 가구제작, 토목 기술자, 수리공;
3.2.2 탐구자 (Investigator): 과학적 사고. 이들은 현실을 그대로 받아 드리지 않고 새로운 진실을 탐구하는 연구 분야 직업 적합
3.2.3 예술가 기질 (Artistic mind): 현실에서 아름다움을 찾고 현실을 아름답게하는 기질. 예술가 직업;
3.2.4 사회적 사람 (Sociable man): 사회성이 좋고 남을 도와주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 변호사, 사회복지원, 간호사, 공무원, 판매원 등의 직업이 적합;
3.2.5 기업가 (Entrepreneur): 추진 능력, 계획 능력, 위험 부담 능력, 흥정 능력. 기업가 직업이 적합;
3.2.6 인습적 사람 (Conventional man): 받은 지령을 충실하게 수행하는 사람: 사무소 직업
3.3 이력 (Curriculum vitae)
3.3.1: 목적: 고용주가 원하는 사람임을 보여주는 것. 자기 자랑이 아님
3.3.2: 길이: 3 page; Font: Time New Roman 12;
3.3.3: 기입 해야 할 정보: 이름, 전화번호, fax, e-mail 등);
3.3.4. 작성모형: (1) 연대형 (chronologic)-(a)현시점부터 과거로 (b) 과거로부터 현시점으로 (2) 기능형 (Functional) (3) 혼합형 (mixed):연대형과 기능형의 혼합. 기능형은 경험이 없는 사람에게 적합;
3.3.5: 내용 학업 (해당 직책과 관련 부분 강조) 직장 경험: 해당 직업과 관련된부분 강조
3.4 자기 포트폴리오 (Self Portfolio): 자기에게 유익한 자료: 작품. 판매표장, 우수 직원 포장, 자원봉사 포장, 시문 clipping
3.5 자기소개장 (Letter of self presentation)
면접전 혹은 면접시에 고용자에게 전달. 내용:
(1) 해당회사에 대한 지식;
(2) 해당회사 정책에 대한 지식;
(3) 해당 직장과 연계된 학업 및 직장 경험;
(4) 자기 소개시 왜 이상적 직원이 될 수 있는지 이유;
(5) 자기의 능력 (앞에서 언급한 14 개 능력 참고)
공개토론: 구직 제 2 부 (2019년 월): 고용주와의 전화 통화, 면접 질문, 취직후 직장 생활 (동료직원과의 관계, 상급자와의 관계 등 대인관계), 인종차별, 멘토(Mentor)의 필요성